세계일보

검색

[사설] 은행장 소집으로 금융 안전불감증 고칠 수 있겠나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4-04-15 21:26:33 수정 : 2014-04-15 21:26:3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금융감독원이 어제 10개 시중은행장과 국책은행장을 비상 소집했다. 하루가 멀다 하고 금융사고가 터지자 긴급히 마련한 자리라고 한다. 최수현 금감원장은 회의에서 “금융사고가 계속해 발생하면 경영진에 책임을 엄중하게 묻겠다”고 경고했다. 앞으로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하는 금융회사는 상주 검사를 실시하고 자정노력이 부족한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가능한 모든 감독수단을 동원하겠다고도 했다. 늦었지만 당연한 조치다.

금융기관을 향한 국민 분노는 폭발 직전이다. 오죽했으면 돈을 믿고 맡길 곳이 없다고 토로하겠는가. 어제 회의로 이런 불신이 봄눈 녹듯 사라질 리는 없다. 금융권은 이미 온갖 비리와 사고로 만신창이가 된 상태다. 어제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도쿄지점에서 거액 부실대출이 발견됐다. 최근 불거진 국민·우리·기업은행 도쿄지점 사기대출 시리즈의 후속탄이다.

고객정보가 송두리째 도둑맞는 사고도 꼬리를 문다. 새해 벽두부터 카드사에서 1억건이 넘는 개인정보가 털리더니 얼마 전에는 IBK캐피탈 등에서 고객정보가 무더기로 빠져나갔다. 한국SC은행, 한국씨티은행과 같은 외국계 금융기관도 예외가 아니다. 고객정보는 2차, 3차 유출로 이어져 범죄의 먹잇감으로 전락하는 일마저 속출한다. 그야말로 금융의 총체적 난국이다.

금융 난국을 수습하자면 이제라도 병의 뿌리를 제대로 찾아야 한다. 우후죽순으로 터지는 사고는 후진 금융관행의 결과물이다. 금융기관들이 그간 실적에만 치중한 나머지 금융 안전은 뒷전으로 밀려난 것이 사실이다. 고액 연봉과 성과급 잔치에 취해 내부통제를 소홀히 한 잘못도 크다. 시중은행만 보더라도 지난해 직원 4명 중 1명은 억대 연봉이다. 잿밥에만 눈독을 들이고, 염불은 내팽개친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잦은 금융비리는 내부 통제장치가 단단히 고장난 현실을 방증한다. 금융기관은 직원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내부의 통제시스템을 새로 정비해야 한다. 내부 제보자에 대한 보호와 보상 수준을 크게 높여야 한다. 허술한 금융보안망을 전면 수술하는 일도 급하다. 사고와 비리를 저지른 회사와 직원은 일벌백계하는 단호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금융기관은 신뢰가 생명이다. ‘불신 받는 금융’ 딱지를 떼려면 뼈를 깎는 자성을 해야 한다. 어제 회의는 금융 안전불감증을 치유하는 첫걸음이 돼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