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준영의견제구] 남북 철도 연결과 OSJD

관련이슈 차준영의 견제구

입력 : 2014-04-25 21:22:24 수정 : 2014-04-25 22:13:1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북한 주요 도시를 철도로 오고 갈 날이 언제쯤 올 수 있을까? 북한 주민도 쉽지 않은 터에 외부 사람이 북한에서 자유로이 철도 여행을 한다는 것은 요원해 보인다. 그나마 지난가을부터 중국 내 한 여행사가 평양을 출발해 원산 함흥 신포 김책 청진 등 동해안을 순방하는 철도여행 상품을 내놓고 모객한 사례가 눈에 띈다. 이 여행은 오는 5월 북한의 노동절 연휴 때 실시된다고 한다. 비록 한시적이고 방문 도시가 제한돼 있기는 해도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엿보인다.

남북한의 철도 연결은 사실 북한 지도부의 결단만 있다면 언제라도 실현 가능한 일이다. 2007년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시범 운행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개발, 남측 관광객 피살에 따른 남한의 금강산관광 중단 조치 등으로 남북관계가 냉각되자 북측은 아예 철길을 닫아버렸다.

해법은 없는 것일까? 일부 전문가들은 국제철도협력기구(OSJD)를 지렛대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러시아 중국 북한 폴란드 등 주로 옛 공산권 27개 국가가 가입한 OSJD는 국제철도 연결과 이용 관련 상호 협력을 꾀하는 기구다. 회원국을 경유한 열차가 제3국에 갈 수 있도록 서로 협조하고 있다.

차준영 객원논설위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2개월 전인 1989년 9월 중순 모스크바를 떠난 화물열차가 벨라루스 민스크를 거쳐 폴란드 바르샤바와 동베를린을 통과한 뒤 서독의 하노버까지 간 적이 있고, 당시 국경지역에서 환적(換績)까지 했다고 한다. 이런 전례로 본다면, 러시아나 중국의 기관차가 북한을 경유해 남한에까지 화물을 보내는 방법이 가능하다. 북한이 이를 거부한다면, 북한 기관차가 러시아 등을 거쳐 제3국으로 가는 것도 거부당할 수 있다. 남한의 열차가 북한으로 가는 게 아니라 일단 러시아나 중국의 열차가 남한을 오가게 하면 길을 열 수 있다는 것이다.

남북 간 긴장의 파고가 높은 이때 코레일 최연혜 사장이 지난 23일부터 28일까지 평양에서 열리는 OSJD 사장단 정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지난달 21일 한국이 OSJD 제휴회원으로 가입한 직후 방북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 기구는 코레일이 시베리아횡단철도나 중국횡단철도와 연결되려면 반드시 가입해야만 할 다자간 협정이다.

한국은 그동안 수차 가입을 시도해왔지만 북한의 방해로 옵서버 자격조차 얻지 못한 상태였다. 그런데 최근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 한국이 제휴회원으로 가입해 의사 발언권을 갖게 된 것이다. 또 폴란드 측 의장의 요청에 따라 북한은 최 사장에게 초청장을 보내 비자 발급도 허용했다.

최 사장은 입북할 때 중국 베이징에서 출발하는 북한 열차를 타고 압록강철교를 거쳐 신의주∼평양으로 이어지는 철길을 이용했다. 남측 인사로서는 중국에서 열차 편을 이용해 평양에 들어간 첫 사례라고 한다.

첫술부터 성과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OSJD에 첫발을 내디딘 만큼 국제기구의 협력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작지 않다. 협력의 기반을 잘 다져 철마가 마음껏 남북을 오가는 날이 앞당겨지기를 기대한다.

차준영 객원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