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北 ‘개인영농’ 장려로 식량증산… 농업개혁 지속여부는 미지수

관련이슈 한반도 리포트

입력 : 2014-04-29 20:42:36 수정 : 2014-05-12 10:27:4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반도 리포트] 김정은 체제 ‘포전 담당제’ 성과와 전망
올 들어 북한의 식량 수급 사정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김정은체제의 대표적 농업개혁 조치인 ‘포전담당제’가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포전(채소밭이나 논밭 등 경작지)담당제는 협동농장 분조의 구성원을 기존 7∼8명보다 더 작은 인원으로 축소한 것으로, 가족 단위의 개인영농 방식을 의미한다. 가족 단위 혹은 몇 가족이 농토를 협동농장에서 대여받아 농사지은 뒤 수확한 농작물 가운데 일정량을 협동농장에 내고 나머지는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경작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 근로의욕을 북돋우는 효과가 있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2월 분조장대회에 보낸 서한에서 농업의 ‘평균주의’를 배격했다. 하지만 북한 농업개혁의 가시적 성과가 경제개혁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 따른다.


◆북한, 인센티브 ‘포전 담당제’ 성과

유엔 세계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북한의 작물 수요량은 537만t, 생산량은 503만t으로 부족량은 약 34만t일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식량 부족분은 2011년 109만t, 2012년 95만t, 2013년 58만6000t, 2014년 34만t으로 감소 추세다. 북한이 매년 중국 등을 통해 30만t 분량의 식량을 수입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부족분은 약 4만t에 불과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올 1분기 북한이 중국에서 수입한 곡물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절반 규모로 줄어든 것도 식량 생산 능력이 증대됐음을 보여준다.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북한이 올해 1∼3월 중국에서 들여온 곡물은 밀가루 2만3636t, 쌀 1241t, 옥수수 1192t 등 모두 2만6263t이다. 이는 북한이 지난해 같은 기간 중국에서 수입한 곡물 5만4178t의 48% 수준이다.

식량 생산이 늘어난 원인으로 북한 경제 전문가들은 포전담당제 실시를 꼽는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월간지 ‘조국’ 4월호는 “지난해 조국(북한)의 농업 부문에서는 분조관리제 안에서 포전담당제가 실시돼 알곡 생산에서 많은 성과가 이룩됐다”고 보도했다.

이 잡지는 지난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이 1990년대 후반 ‘고난의 행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이는 날씨와 같은 자연환경이 아니라 포전담당제를 비롯한 농업정책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농업개혁 조치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 포전담당제는 가족 영농에 가까워 사실상 개인영농으로 이행하는 전 단계라는 해석도 나온다. ‘조국’은 포전담당제를 도입해 성과를 낸 모범 사례로 평안남도 원화군 원화협동농장을 들었다. 이 농장은 포전담당제 도입 이후 농민들의 책임감이 강화돼 모범 단위인 3분조의 경우 생산 목표를 초과 달성하고 1인당 평균 1t의 생산물을 현물로 분배했다는 것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달 28일 사설에서 포전담당제 모범 사례를 거론하며 이들을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지난해 이례적인 식량 증산을 포전담당제 도입의 결과로 보고 제도 안착에 주력하는 만큼 앞으로 농업개혁은 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북한의 전국농업부문 분조장대회 참가자들이 2월 평양남새(채소)과학연구소를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농촌 말단 간부인 분조장 전국대회 개최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북한 매체는 대회 이후 연일 이들의 역할과 성과를 강조하는 글을 게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농업개혁, 이번엔 지속될까


북한은 과거에도 일시적으로 포전담당제를 실시한 바 있으나 지속하지는 못했다. 2002년 7·1 조치의 영향을 받아 북한 일부 지역에서 분조가 영농방식 및 초과생산분에 대한 자율권을 갖는 포전담당제를 시범 실시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2005년 10월 양곡전매제 실시와 배급제 정상화 조치에 따라 중단됐다. 포전담당제는 집단영농체제에서 개별영농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영농 형태로, 중국 역시 개혁 추진에서 유사한 과정을 거쳤다. 포전 담당제 및 개인영농의 실시 여부는 향후 북한의 농업개혁 진도를 가늠할 기준인 셈이다.

북한 농업개혁의 지속 전망에 대해선 견해가 엇갈린다. 김석진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기고문에서 “중국의 농업개혁은 농지 및 영농의 실질적 사유화로 해석할 수 있는 가족농 제도가 정착되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에서 벗어나는 체제 전환적 개혁이었지만, 북한이 시도하는 농업개혁은 집단농장 체제를 여전히 유지한다는 점에서 아직은 체제 내 개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최근 이 연구소가 개최한 통일전략포럼에서 “모든 생산단위의 독자경영체제, 분조관리제 등을 통한 농민의 처분권 확대, 각 지역의 경제개발구 조성 등 김정은정권이 추진해온 경제관리 개선조치들은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봉주 내각 총리의 유임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실어준다. 김연철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지금은 북한의 식량 수급 구조가 바뀌어서 식량이 급한 상황이 아니다”며 “단순 인도적 지원이 아닌 개발협력 방식을 모색해야 할 때이고, 본격적 농업분야의 개발협력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