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대학로 소극장 대다수 ‘안전 사각지대’

입력 : 2014-10-23 06:00:00 수정 : 2014-10-23 15:54:4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0곳 중 8곳 커튼 방염처리 미비
스프링클러 없는 곳도 절반 넘어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로 우리 사회의 심각한 ‘안전불감증’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공연의 메카인 대학로 소극장도 안전 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형 이벤트 행사로 분류돼 규제 밖에 있었던 판교 참사처럼 또 다른 사고를 예고하고 있는 셈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새누리당 박대출 의원이 22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대학로 소극장 특별안전검검결과’에 따르면 대학로 소극장의 안전 시스템은 한마디로 엉망이었다. 문화부와 공연장안전지원센터는 올해 3월부터 3개월간 대학로 소극장 129곳을 대상으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소극장 공연은 3000명 미만의 소규모 공연인 탓에 공연법에 의한 안전관련 규정을 지킬 의무가 없다.

점검 결과 대부분 소극장이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었다. 129곳 가운데 절반 수준인 66곳(51.2%, 확인 불가 포함한 수치)엔 화재 시 소화장치인 스프링클러가 없었고, 32곳(24.8%)은 화재 감지 및 경보기가 아예 없거나 고장나서 작동하지 않는 상태였다. 최소한의 소화장치인 수동식 소화기마저 없거나 불량인 곳도 46곳(35.7%)으로 파악됐다.

무대세트인 무대마루와 커튼에 방염처리를 일부만 했거나 하지 않은 곳은 각각 81곳(62.8%), 105곳(81.4%)이나 됐다. 소규모 영세 기획단들이 방염 처리에 소요되는 큰 비용을 감당하기 힘든 탓이다.

비상상황 발생 시 피난구 유도등(주출입구)은 신속 대피를 위한 필수 시설이지만 아예 없거나 눈에 띄지 않게 가려진 곳도 44곳(34%)에 달했다. 대피 안내도가 아예 없는 곳도 34곳(26.4%)이었다. 소극장 86곳(66.6%)이 지하에 있는 데다 객석 통로 폭이 엄청 좁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최소한의 기본 안전관리조차 안 된 곳도 상당수였다. 아예 안전점검을 하지 않거나 위험 징후가 발생해야 조치를 취하는 곳이 29곳(22.5%)이었다. 공연장 관리자가 지정돼 있지 않은 곳이 31곳(24%)이었고 관리자가 있더라도 안전 관련 교육을 이수한 곳은 49%(51곳)에 불과했다. 공연 시작 전후로 비상 시 대피 안내를 하지 않는 곳도 59곳(45.7%)에 달했다.

박 의원은 “대부분의 소극장 운영은 영세한 극단들로 무조건적인 규제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러나 안전점검 기록, 소화기 설치, 비상대피 안내, 비상조명 등 기본적인 안전관리조차 하지 않는 것은 책임 회피”라고 지적했다.

김채연 기자 wh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