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詩보다 감칠맛 안도현표 산문 거 참 '개미있네'

입력 : 2014-10-30 20:03:46 수정 : 2014-10-30 20:03:4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안도현(53) 시인의 산문은 개미 있다. ‘개미 있다’는 말은 전라도 사투리로 “맛이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고 감칠맛이 나면서 깔끔하다”는 뜻인데, 경상도 출신 시인이 전라도에서 30여 년 살다가 발견한 개미 있는 말이다. 그가 최근 펴낸 산문집 ‘발견’(한겨레출판)의 한 꼭지로 기술한 대목이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시를 쓰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래 시 같은 짧은 산문들을 모은 책으로, 외려 시보다 친절하고 흥미롭다.

안도현은 “시인은 세상에 없던 것을 새로 만들어내는 사람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 중에 남들이 미처 찾지 못한 것을 찾아내는 사람”이라면서 “시인은 발명하는 사람이 아니라 발견하는 사람이며 그런 의미에서 눈에 번쩍 띄는 연애의 대상을 발견하고 사랑에 빠진 사람은 바로 그때 시인이 된다”고 서문에 적었다. 그는 이 산문집을 5개 항목의 ‘발견’으로 분류했다. 생활, 기억, 사람, 맛, 숨이 그것이다.

생활에서 발견한 ‘냄비받침변천사’는 안도현표 글답게 익살스럽고 서글프다. 평소에는 싱크대 구석에 웅크려 처박혀 있다가 열을 받을 대로 받는 냄비만 받치는, 그래서 검은 상처를 문신처럼 몸에 새기고 사는 그 냄비받침의 입장에서 보면 “어떻게든 견디는 게 그의 삶”이라고 본다. 안도현은 “시인들 사이에는 시집이 냄비받침으로 적격이라는 말이 떠돈다”면서 “냄비받침으로 쓰더라도 시집 좀 사주는 세상은 없나?”라고 맺는다.

‘기억’에서 발견한 ‘고등학생’에서는 “이마가 푸르게 빛나고 심장이 붉게 뛰는 고등학생들을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교실에 가둬두었다”고 한탄하면서 “어린 하느님들을 다 수장시켜놓고…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묻는다.

‘사람의 발견’에는 그가 존경하는 선생과 벗과 시인들이 포진해 있다. 야당 국회의원을 지낸 김진배는 “내가 보고 싶은 사람은 그쪽 사정과는 관계없이 사정없이 보고 싶다”면서 써내려간 “존경, 사랑, 집착, 아니 그런 게 아니라 신앙, 맹신, 중독 같은” 연애편지를 안도현에게 보냈다. 한 세대 이전 논객이 아들뻘 후배에게 보내는 사랑은 시인의 글에 드러난 품격과 애틋한 스밈 때문일 것이다. 안도현은 이 꼭지 마지막에 “연애편지 받고 나서 자랑한다고 너무 시샘하지는 마시라”고 했는데 그게 무리한 요구라는 건 자신이 더 잘 알 터이다.

마지막 ‘숨’의 발견 항목에는 이런 생명들이 진설됐다. 생강나무, 감꽃, 무화과 꽃, 참비름, 연꽃, 애기꾀꼬리버섯, 마타리꽃, 전주물꼬리풀, 참나무, 싸리꽃, 꽃무릇, 돼지감자꽃, 구절초, 음나무, 매화, 노각나무, 곤드레, 멀구슬나무, 갈매나무, 벼룩나물, 변산바람꽃, 병어, 갑오징어, 민어, 버들치, 은어, 연어, 전어, 물메기…. 안도현은 공동저자인 그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 썼다.

조용호 문학전문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