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선상범죄 최근 5년간 1만건… 수사인력이 없다

입력 : 2015-07-06 19:57:09 수정 : 2015-07-07 09:14:1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익사 3396건·실종 548건 달해…목격자·증거 수집 등 어려워…원인불명 ‘잠재적 범죄’로 분류…세월호 여파로 해경 해체된 후 안전구조·관제로 인력 대거이동…수사 인원 반토막… 범죄 무방비 지난 5월17일 오전 3시 목포 북항에 계류된 선박 안에서 이 배의 선주 왕모(69·여)씨가 불에 타 숨진 채 발견됐다. 목격자도 없었고 폐쇄회로(CC)TV에 찍힌 피의자의 차량은 저화질인 탓에 차량번호는 특정되지 않았다. 수사에 진전이 없자 목포 해양경비안전소는 형사과 소속 경찰 6명을 전원 투입했다. 수사 착수 석달 만에 왕씨는 채무불이행으로 선박을 빼앗긴 이전 선주 박모(58)씨와 박씨의 사주를 받은 조직폭력배 황모(48)씨에 의해 살해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화 '해무'의 한 장면
해양경비안전소의 한 관계자는 “인력과 장비 부족으로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이 사건도 안전소 형사 전원을 투입한 끝에 범인을 검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선상범죄의 경우 왕씨 사망 사건처럼 전모가 드러난 경우는 흔치 않다. 선상범죄의 특성상 목격자나 증거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건은 실종이나 익사처리된다. 이렇게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실종이나 익사는 ‘잠재적 선상범죄’로 분류된다. 수사 인력의 부족으로 밝혀지지 않았을 뿐 실제로는 살인이나 밀항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런 ‘잠재적 선상범죄’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6일 국민안전처가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에게 제출한 ‘선상범죄관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선상에서 일어난 범죄는 9629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실종이 548건, 익사가 3396건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전체 선상범죄 중 잠재적 선상범죄 비율은 2012년 30.3%에서 2013년 59.1%, 2014년 74.5%로 수직 상승했다. 반면 2012년 1798건이던 해양 범죄 적발 건수는 2013년 502건, 2014년 315건으로 많이 감소했다.

잠재적 선상범죄 비율이 커지고 있는데도 해경 해체 후 새롭게 구성된 해양경비안전본부의 수사·정보 인력은 오히려 감소했다. 안전처가 출범하며 해양경비안전본부는 해상교통관제센터 275명, 함정구조인력 107명, 122구조대 78명 등 구조인력을 보강했지만 수사와 정보인력은 792명에서 283명으로 줄였다. 세월호 사건 이후 해경을 해체하면서 순수 해상수사 인력과 지상 수사인력을 구분해 200여명을 경찰로 보내고, 300명은 안전처의 구조·안전인력으로 배치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선 해양경비안전서(구 해양경철서)의 형사과 인원은 과거 12명에서 6명 수준으로 줄었다.

하지만 실제 해경 수사의 대부분은 여전히 지상과 바다를 넘나들고 있다. 안전처의 한 관계자는 “실제 해양경찰이 수사하는 사건 중 95%는 육상과 해상을 넘나들 수밖에 없는 사건들”이라며 “해양 범죄의 특성을 모르는 정부의 조치로 일선 해경들만 죽어난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해양경비안전본부의 부족한 함정과 노후화된 장비도 수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특수함정을 제외한 안전본부의 경비함정은 181척인데, 한 척당 담당하는 면적은 475㎢에 달한다. 이는 안전처가 소유한 가장 빠른 소형함정의 최대속력인 30노트로 횡단하는 데 8시간30분이 걸리는 거리다.

이 의원은 “해양 사건대응력이 떨어져 바다가 무법천지로 방치되고 있다”며 “안전관리뿐만 아니라 수사인력과 기동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