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997년 한국등 아시아 금융 위기와 2015년 차이나 쇼크

입력 : 2015-08-27 14:43:54 수정 : 2015-08-27 14:43:5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997년 말에 발생한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금융 위기와 2015년 ‘차이나 쇼크’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차이나 쇼크가 신흥 시장 등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이 1997년 위기에 비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2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1997년 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긴급 사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체질 개선 작업을 적극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신흥 시장에서는 1997년 위기가 2015년에 그대로 재연된 것과 같은 소름 끼치는 유사성이 나타나고 있는 게 사실이다. 1997년에 태국을 시작으로 화폐 가치 폭락했고, 금융 위기가 한국을 거쳐 러시아, 라틴 아메리카 지역 등으로 퍼져나갔다. 올해 2015년에는 중국에서 위안화 가치가 떨어진 뒤 통화, 주식, 채권을 투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2015년에 통화 가치 폭락은 위기의 확산이 아니라 위기를 수습하는 완충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WSJ이 지적했다.

다만 중국의 경기 둔화로 인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신흥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신흥국은 여전히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자원 수출국이 그 대표적인 나라이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터키에서도 통화 가치 급락으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997년에는 많은 신흥 국가는 자국 통화를 미국 달러화에 연동하는 ‘환율연동제’를 시행했다. 이로 인해 정부, 은행, 기업이 막대한 달러 부채를 안게 됐다. 자국 통화보다 달러 부채가 더 저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역 적자 등으로 이같은 연동제를 유지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신흥국의 중앙은행이 부족한 외환보유액으로 자국 통화를 사들였다. 한국은 원화를 평가 절하하지 않을 수 없었고, 달러 표시 부채 상환 부담에 시달렸으며 한국의 단기 금리가 한 때 20%를 넘었다.

그 당시에 비해 요즘 신흥 국의 은행은 더 보수적으로 운영되고,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받고 있다. 은행은 자기 자본 비율을 높였고, 대규모 차입 대신 예금 의존 비율을 높였다. 그 결과 중국 경제가 ‘경착륙’해도 신흥국은 올해 연4%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WSJ이 전했다. 현재 신흥국은 1997년과는 달리 금융 위기의 벼랑 끝에 서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WSJ가 평가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