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현주의 일상 톡톡] "매장이 미덕? 이젠 옛말"

입력 : 2015-11-28 05:00:00 수정 : 2015-11-28 05:00: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지난날 매장을 미덕으로 여겼던 장묘문화는 이제 옛말이 됐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10명 중 8명이 고인을 선산이나 공원묘지에 매장했지만, 지금은 5명 중 4명이 화장을 선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정부는 서울·경기 등 화장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친자연적인 장례 문화를 더욱 확산시켜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사망자 5명 중 4명은 화장 방식으로 장례를 치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연도별 화장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화장률은 79.2%로 집계됐다. 이는 20년 전인 1994년(20.5%)의 4배 수준이고, 1년 전인 2013년 화장률 76.9%와 비교해도 2.3% 포인트 더 높아졌다.

성별 화장률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80.7%, 77.4%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99.3%로 가장 높았고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3.9%인 반면, 60대 이상은 75.4%로 다소 낮은 편이었다.

시·도 중에서는 부산이 90.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 89.4% ▲울산 86.6% ▲경남 86.0% 등의 순이었다. 반면 충남(62.6%), 제주(63.5%), 전남(65.2%), 충북(65.7%) 등에서는 화장의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편이었다. 특히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5.8%로 이외 지역(74.8%)보다 11% 포인트 높았다.

◆수도권 화장률 85.8%, 다른 지역보다 11%포인트 높아

시·군·구 단위에서는 경남 통영시의 화장률이 95.2%로 1위였다. 통영시를 비롯해 경기 안산시(94.5%), 경남 남해군(94.3%) 등 화장률이 90%를 넘는 지방자치단체는 11곳이었다. 반대로 ▲전남 곡성군(34.0%) ▲전북 장수군(36.4%) ▲경북 예천군(39.4%) 등 11곳의 시·군·구는 화장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작년 말 기준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55곳으로, 316개 화장로가 공급돼 1일 평균 772건을 처리할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2005년 화장률이 매장률을 넘어선 이후 연평균 약 3% 포인트씩 증가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서울·경기 등 화장시설이 부족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관련 시설을 확충하고 장례문화 변화에 맞춰 친자연적 장례를 확산할 계획이다.

한편, 쪽방과 거리로 내몰린 가장들이 죽어서도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한 채 이름없는 한 줌의 재로 납골당에 안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들 가운데 72%는 정부의 경로혜택 기준 연령인 65세 이전에 사망했다.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시 비용 등 공공기관의 예산이 투입돼 처리된 무연고 시신은 총 1324구에 달한다. 연도별로는 2010년 223구에서 조금씩 늘어 지난해에는 299명까지 증가했다.

성별(작년 기준)로는 남성이 269명으로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여성은 29명에 그쳤다. 1명은 성별이 확인되지 않았다. 무연고 시신은 대부분 노숙인 출신이다.

◆경제적 지위 상실한 노년의 가장, 사회로부터 버림 받다 죽은 경우가 대부분

지난해 기준 연령별로는 ▲65세 미만 216명 ▲65세 이상 76명 ▲불상 7명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무임승차 등 정부의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는 65세 이전에 약 72%가 사망한 것이다. 무연고 시신은 가족 해체 풍토 속에 경제적 지위까지 잃은 장노년층 남성 가장이 가정과 사회로부터 버림받다가 죽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문가들은 "경제적 능력을 상실한 가장들이 설 자리를 잃고 누구에게도 기대지 못한 채 죽음까지 외롭게 맞이한다"며 "가부장적 질서 파괴와 가족 해체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경제 능력을 상실한 가장들은 주로 쪽방이 많거나 KTX 역사가 있는 중구와 영등포구에 몰린 탓에 이들 지역에서 무연고 시신도 많았다. 지난해 기준 중구에서는 67구, 영등포구에선 27구의 무연고 시신이 발견됐다. 전체의 31.4%다.

서울시는 작년에만 299구의 무연고 시신을 처리하는 데 약 1억6000만원이 들었으며, 무연고 시신이 늘면서 예산도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