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강진칠량 옹기 명맥 이어가는 정윤석씨 삼부자 ‘독 옹, 그릇 기’ 옹기(甕器)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온 한민족의 독특한 음식 저장용기다. 숨구멍이 있어 그야말로 살아 숨쉬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처음 옹기 제작기술을 배울 땐 쩌기~ 바다 위에 옹기를 실어 나르는 목선이 수십 척씩 대기하고 있었제∼.” 

국가중요무형문화재 96호 정윤석 옹기장이 전남 강진군 칠량군 봉황리 작업장에서 물가죽(도자기의 손잡이나 꼭지 등을 만들 때 쓰는 헝겊조각)을 이용해 옹기의 입을 만들고 있다. 정씨는 16세에 처음 옹기 일을 시작해 59년째 같은 일을 해오고 있다. 장인의 숨결이 느껴진다.
전남 강진군 칠량면 봉황리 옹기 작업장 앞바다를 바라보며 국가중요무형문화재 96호 옹기장 정윤석(73)씨가 생각에 잠긴다. 까마득한 옛이야기를 듣는 듯하다. 이 지역 옹기가 유명했던 이유는 인근에 찰지고 철분 많은 흙이 풍부했고 편리한 뱃길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씨가 수동 물레를 이용해 전통 옹기를 제작하고 있다.
지금은 정씨만이 아들과 함께 전통 옹기의 맥을 이어가고 있지만 한때는 마을 전체가 옹기 제작에 종사했을 정도로 번성했었다. 

잘라 놓은 타래미를 쌓아올리며 옹기를 만드는 모습.
떡가래처럼 만든 진흙을 돌려 쌓아 만드는 ‘개타래미 기법’이 일반적인 옹기 만드는 방법이라면 강진칠량 봉황옹기는 넓고 네모지게 만든 판 모양의 타래미(질판)를 발물레를 이용해 쌓아 올리는 ‘쳇바퀴 타래미 기법’을 사용한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옹기를 쉽고 빠르게, 더 튼튼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손으로 빚고 천연유약을 발라 1250도 이상 고온의 가마에 구워 숨구멍이 트인 옹기로 완성한다. 

영균씨가 나무방망이로 옹기의 바닥을 내리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김치냉장고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좋아져 예전에 비해 옹기를 찾는 이가 적지만 김치, 고추장, 된장, 간장 등 발효식품을 보관하기에는 여전히 그 효과가 남달라 꾸준히 발길이 이어진다고 한다. 

정씨의 큰아들 상균씨가 옹기 가마에 장작을 넣어 온도를 높이고 있다. 옹기가마 온도를 1250도가 넘게 유지해야 좋은 옹기를 만들 수 있다. 회사생활을 하던 상균씨는 1년 전부터 옹기 일을 배우고 있다.
정윤석 옹기장과 전수자인 두 아들 상균, 영균씨가 작업장 옹기가마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들 부자는 전통방식으로 모든 옹기를 만든다. 정씨는 아들에 이어 손자들까지 가업을 잇기를 바라고 있다.
“아따. 벌써 60년 세월이네” 옹기 제작에 평생을 바친 정씨가 옆자리에서 옹기를 만들고 있는 막내아들 영균(47)씨의 모습을 흐뭇하게 바라본다. “군대 제대하고 계속 했응께 오래했지라.” 

막내아들 영균씨가 작업장에서 전통방식으로 옹기를 빚고 있다. 군 제대 후 25년째 옹기 만드는 일을 하고 있는 영균씨는 자신의 자식도 가업을 잇기를 바라고 있다.
정윤석 옹기장의 큰아들 상균(53)씨가 전남 강진군 칠량군 봉황리 작업장에서 옹기에 쓰일 흙을 살펴보고 있다. 작업장 인근에는 찰지고 철분이 많은 흙이 풍부하다. 강진옹기가 유명해진 이유 중 하나다.
큰아들인 상균씨가 전남 강진군 칠량군 봉황리 작업장에서 옹기에 천연유약을 바르고 있다. 회사생활을 하던 장남 상균씨는 1년 전부터 옹기를 배우고 있다.
정윤석 옹기장의 전수자인 막내 아들 영균씨가 전남 강진군 칠량군 봉황리 작업장에서 유약을 바르기 전 옹기를 살펴보고 있다. 옹기를 살펴보는 눈빛에서 자부심이 느껴진다.
직장생활을 하던 큰아들 상균(52)씨도 지난해부터 옹기를 배우고 있어 정씨는 삼형제 중 두 아들과 하루종일 같이 생활한다. 뒤늦게 시작한 상균씨가 가마에 장작을 넣고 유약을 바르느라 분주하다. “상균아 장작 쪼깨 더 넣어라.” 정씨가 옹기 가마로 다가서며 소리친다.

정씨가 작업장 마당에서 완성된 옹기를 살펴보고 있다. 이 지역에서 만들어진 옹기들은 수요가 많던 시절 배에 실려 제주도,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으로 팔려나갔다.
“옹기는 그냥 그릇이 아니여. 어떤 주인을 만나느냐에 따라 달라지지. 늘 닦아주고 뚜껑도 열어보고 애정을 쏟아야 더 효과를 발휘하는 거여.”

강진칠량 봉황옹기는 대를 이어 숨을 쉰다.

강진=사진·글 이제원 기자 jw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