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통 수묵화에 담긴 ‘선비정신’ 재조명

입력 : 2016-04-05 20:44:39 수정 : 2016-04-05 20:44:3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포스코미술관 ‘사군자, 다시 피우다’ “난초를 그릴 때는 자기의 마음을 속이지 않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잎 하나, 꽃술 하나라도 마음속에 부끄러움이 없게 된 뒤에야 남에게 보여줄 만하다. 열 개의 눈이 보고 열 개의 손이 지적하는 것과 같으니 마음은 두렵도다. 이 작은 기예도 반드시 생각을 진실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서 출발해야 비로소 붓을 대는 종지를 얻게 될 것이다. 아들 상우에게 써 보인다.”

추사가 제주 유배시절 아들에게 그려 보내준, 난초 그리는 법을 표현한 ‘시우란’(示佑蘭).
추사 김정희가 제주 유배시절 아들에게 그려 보내준 난초 그리는 법을 표현한 ‘시우란’(示佑蘭) 속의 글귀이다. 스스로에게 정직함에서 제대로 된 붓질은 시작됨을 알려주고 있다.

다산 정약용은 강진으로 귀양살이 떠날 때 8살이던 딸이 시집간다는 소식을 듣고 아내가 보내준 낡은 치마폭에 ‘매화병제도’(梅花屛題圖)를 그려 보내주었다. 매화의 토실한 열매처럼 잘 살아주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시 한수를 적었다. ‘훨훨 새 한 마리 날아와/우리 뜰 매화나무에서 쉬네//진한 그 매화향기에 끌려/ 반갑게도 찾아왔네// 이곳에 머물고 둥지 틀어/내 집안을 즐겁게 해주어라//꽃은 이미 활짝 피었으니/토실한 열매가 맺겠네.’ 이미 성장한 딸 아이의 미래를 매화 꽃을 빌려 축복하고 있는 것이다.

철조각으로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를 형상화한 조환 작가의 작품.
포스코미술관이 5월25일까지 여는 ‘사군자, 다시 피우다’전에 출품되는 작품들이다. 전시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작가 32명의 사군자 작품 77점을 선보인다.

이른 봄 흰 눈이 내릴 때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트리는 매화, 그윽한 곳에서 알아주는 이 없어도 향을 품는 난초, 식물들이 조락하며 찬 서리 내리는 차가운 시절 피는 국화, 곧은 줄기며 푸름을 계속 유지하는 대나무 등 사군자로 지칭되는 식물들을 선비들은 정신적 지표로 삼았다. 이른바 군자의 도다. ‘잘 사는 삶’을 위해서 이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여백의 미를 만끽하고 있는 수운 유덕장(1675~1756)의 묵죽도6곡병(墨竹圖六曲屛)은 현대적 회회미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운무와 쌓인 눈을 과감한 여백으로 처리해 추상으로 구상을 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표암 강세황(1713~1791)의 사군자도뿐 아니라 사군자가 담긴 백자청화 연적 등 도자작품도 볼 수 있다. 이 시대 스승이었던 무위당 장일순(1928∼1994)의 묵란은 절제미가 압권이다.

이 밖에도 일제강점기 지조와 절개의 의지를 표현했던 석촌 윤용구(1853~1939)의 사군자 10폭 병풍, 항일운동가 일주 김진우(1883~1950)의 묵죽도(墨竹圖), 밝은 달을 배경으로 매화가 피어난 월전 장우성(1912~2005)의 ‘야매’(夜梅) 등이 소개된다.

사군자를 철조각으로 표현한 조환 작가의 작품과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의 사군자 영상작업도 전통의 재창조라는 점에서 눈길이 간다. 사군자가 아이디어 빈곤의 미술계에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다.

편완식 미술전문기자 wansi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