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분노조절 고장난 사회…폭력범죄 40% '홧김에'

입력 : 2015-02-27 20:00:26 수정 : 2015-02-27 21:08: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작년 검거된 36만명 중 15만명…양극화 등 상대적 박탈감 원인
화를 억누르지 못한 탓에 발생하는 이른바 ‘분노 범죄’는 전체 폭력 범죄의 40%에 이른다.

지난해 경찰이 전국에서 검거한 폭력범 36만6527명 중 15만2249명은 격앙된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분노 조절의 이상 징후는 의료 기록에서도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분노조절장애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9년 3720명에서 2013년 4934명(32.6%)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분노조절 장애는 유전자 문제, 피부질환 후유증 등과 같은 의학적 요인 때문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날로 심화하는 사회 양극화와 저출산 고령화 등이 야기한 상대적 박탈감, 소외감 등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유은정 좋은클리닉 원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은 “분노는 대개 ‘불평등’하거나 ‘불공평’하다는 인식에서 나온다”며 “최근에 일어난 사건 모두 분노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일어난 범행”이라고 분석했다. 유 원장은 “분노를 자신에게 돌리면 우울증이 되고 타인에게 돌리면 폭행이나 살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분노 수준이 대화로 풀 수 있는 정도일 때 바로 해결에 나서야 하고, 갈등을 부끄러운 것으로 생각해 숨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심리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노 범죄는 자연 증식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세종시 살인사건이나 이번 화성 총기 사건의 경우 우발적 범행이라기보다 어느 정도 계획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오랜 시간 개인적으로 분노를 품고 있다가 주위에서 이런 분노를 극단적으로 표출하는 사건들을 자주 접하다 보니 스스로 제어 기제가 사라져 범행을 저지른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범죄가 또 다른 모방 범죄를 낳고 있는 셈이다.

이 교수는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갈등 당사자 간 합리적으로 대화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지만 쉬운 일은 아니다”라며 “사회적 관심이 사건 자체나 구체적인 범행수법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범행 당사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비참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켜 잠재적 범죄자들의 제어 기제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수 기자 v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