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주택시장 ‘꽁꽁’

입력 : 2016-12-04 20:33:25 수정 : 2016-12-04 20:33:2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1·3부동산 대책’ 시행 한 달
.
내년 봄 전세 만료를 앞두고 미리 아파트 매수를 고민하던 A(43·서울 강서구)씨는 최근 임대 계약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11·3부동산대책 이후 서울 주택 시장이 싸늘하게 식어가는데, 지금 집을 샀다가 나중에 가격이 떨어지면 낭패를 볼 것이라는 주변의 조언 때문이다. A씨는 “지인들이 지금 집 사는 것은 ‘상투를 잡는 것’이라고 하더라”며 “쏟아지는 규제나 나라 안팎의 경제여건, 국내 정치 불안 등을 감안하면 1∼2년 뒤 천천히 상황 변화를 보고 집을 사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11·3대책 발표 한 달이 경과하면서 시장 전반에 내년 이후 주택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에 달하고 있다. 11·3대책이 일부 청약 과열 지역 등에 대한 정밀 타격이었지만, 이후 불거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정국혼란과 의외의 미국 대선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 대출 규제 강화 등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주택 시장 전체가 얼어붙은 것이다.

4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2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2014년 12월12일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였다. 서울 아파트값 약세의 진원은 정부의 11·3대책 타깃이 된 이른바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다. 한국감정원 조사를 보면 대책 발표 직후인 11월7일부터 28일 사이 4주 동안 구별로 이들 지역에선 매주 0.01%에서 0.06%까지 아파트값이 빠졌다. 한국감정원은 “강남4구의 경우 일반아파트의 보합세에도 불구하고 11·3대책과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인해 재건축단지를 중심으로 하락세가 크다”고 설명했다.

청약시장은 실수요와 가수요, 비규제와 규제 지역으로 구분되며 양극화가 진행 중이다. 분양권 전매 제한 기한이 1년 더 늘어난 서울 서대문구에서 지난달 30일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 한 아파트는 도심권인데도 전용면적 112.8㎡가 1순위서 미달해 2순위까지 넘어갔다. 가수요가 대거 이탈하면서 서울 대부분의 청약 단지 경쟁률도 규제 이전에 비해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GS건설이 지난 2일 오픈한 ‘연수파크자이’의 견본주택에는 오픈 후 3일간 1만5000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는 등 북새통을 이뤘다. 11·3 규제에서 벗어난 지역의 반사효과와 더불어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잔금 대출규제까지 피한 연내 막바지 분양물량에 실수요자의 발길이 몰렸기 때문이다.

청약률이 떨어지고 집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미분양과 아파트 소유주가 전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난’ 공포도 커지고 있다. 실제 2017년에 올해보다 4만3000여가구가 늘어난 16만3000여가구의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9일부터 총체적 상환능력평가(DSR) 시스템이 시행되고 12월 중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여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여기에 정국 혼란도 장기간 이어질 수 있어 시장에는 악재”라며 “이래저래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