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신질환, 의지 문제 아냐… 전문 치료 필요” [심층기획]

, 세계뉴스룸

입력 : 2023-03-28 06:00:00 수정 : 2023-03-27 22:01:3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전진용 울산대병원 임상부교수

“마음의 감기 비유, 편견 부추길 수도
119 신고처럼 콜센터 접근성 높여야”

“바깥에서 환자를 마주쳐도 절대 먼저 아는 척하지 않아요. 환자가 곤란해할까 봐요. 내과 의사였다면 안 그래도 됐을 거예요.”

27일 전진용 울산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부교수는 정신질환을 향한 편견이 여전한 사회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신과 환자의 경우 그가 치료받는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더 조심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진용 울산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부교수.

전 교수는 한 환자가 친구들과 여행을 앞두고 걱정하던 모습을 떠올렸다. 약을 먹는 환자였는데 “친구가 무슨 약 먹는 거냐고 물어보면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난감해했다고 한다. 그 환자는 결국 친구에게 몸이 안 좋아서 먹는 약이라며 대충 둘러댔다고 한다.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 못지않게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전 교수는 설명했다. 장벽을 낮추겠다고 정신병을 ‘마음의 감기’로 비유하는 식에 대한 우려다. 전 교수는 이런 접근이 오히려 편견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감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환으로 여겨지는 만큼 정신질환이 마치 “마음을 고쳐먹으면 해결할 수 있는 ‘의지의 문제’처럼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감기로 비유하기보다는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전문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전 교수는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2012년 발표한 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에서 정신과 진료 진단서나 처방전에 ‘보건일반상담’을 의미하는 Z코드를 적을 수 있게 허용한 것과 관련해서도 전 교수는 아쉬움을 표했다. 전 교수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양날의 검”이라고 지적하며 “당장 진료 접근성은 높일 수 있겠지만,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려면 결국 의사가 환자에게 F코드(정신과 질환)를 부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회적 편견이 여전한 상황에서 “환자에게 정신질환이 있음을 인식시키고 설득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셈”이라는 설명이다.

정신과 접근성도 아직 더 높여야 한다. 전 교수는 “정신과 상담 관련 콜센터가 2개나 있어도 아는 사람이 없고, 이곳을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불나면 119에 신고하는 것이 바로 떠오르는 것처럼 정신과 진료 하면 생각하는 서비스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교수는 외과 등 다른 과 진료로 병원에 왔더라도 극단적 선택 징후가 강한 경우 정신과 치료로 연계하는 시스템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그는 “대학병원이다 보니 한 달에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가 30명 가까이 온다”며 “도와주고 싶어도 도와줄 수 없을 때 무기력하기도 하다”고 씁쓸해했다.


윤준호 기자 sherp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