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계 업무 복원 집중할 듯”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오는 24일로 확정되면서 국무총리실을 비롯한 정부 당국자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이들은 한 총리의 복귀 가능성에 대비해 그간의 업무진행 사항 등을 보고하기 위한 업무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은 공식적으로 헌재 심판 결과를 예단하지 않고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한다. 총리실 한 관계자는 21일 통화에서 “통상업무를 하며 차분하게 헌재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총리실은 한 총리의 최종변론 종결이 이뤄진 지난달 19일 이후 헌재 선고에 대비해 직무정지 기간 진행된 주요 국정업무 등에 점검 회의 등을 열고 한 총리 복귀시 업무보고가 즉각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직무정지 이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생긴 한·미 외교 공백을 메우기 위한 업무준비에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 석·박사 출신으로 외교부 통상교섭본부장, 주미대사를 지낸 한 총리는 정부 내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알려져 있다. 한 총리는 현재도 영자 신문 등을 챙겨보며 외신 기자들과 통역 없이 문답이 가능할 정도의 영어 실력을 자랑한다.
정부 한 관계자는 “한 총리가 복귀할 경우 미국과 벌어진 여러 외교·안보, 경제 현안들을 해결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극단으로 대립하는 사회적 분열 양상 해소와 함께 여러 현안을 관리하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한 총리의 탄핵 심판에서 인용 결정이 날 경우 한 총리는 당일 선고와 동시에 총리직에서 파면되고, 현재 총리 직무대행을 겸하고 있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총리 직무대행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