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내가 360만 원 모으면, 나라가 1080만 원 얹어준다?”

입력 : 2025-05-09 09:15:36 수정 : 2025-05-09 13:21:5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마포구 청년내일저축계좌, 지금 신청하면 최대 1440만 원 적립
마포구청사.

 

“적금 들면 나라에서 돈 얹어준다고요?”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29)씨는 최근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집 소식을 듣고 눈이 번쩍 뜨였다. 3년 동안 매달 10만 원씩 모으기만 해도 정부가 최대 30만 원씩 보태준다는 얘기였다. 단순 계산만 해도 총 360만 원을 넣고 최대 1440만 원을 돌려받는다는 것.

 

마포구는 오는 5월 21일까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다.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50%에 해당하는 만 19∼34세의 일하는 청년이다. 차상위계층이나 기초생활수급자는 연령이 15~39세로 넓어지고, 지원금도 더 커진다.

 

조건은 어렵지 않다.

 

우선, 본인이 매달 10만 원에서 50만 원 사이 금액을 정해서 3년간 꾸준히 저축해야 한다. 이렇게 저축을 시작하면, 정부가 매달 추가로 돈을 얹어준다.

 

저소득 청년(기준 중위소득 50~100%)의 경우, 정부는 매달 10만 원씩 지원한다. 즉, 본인이 매달 10만 원을 넣으면 정부도 10만 원을 넣어주고, 이런 방식으로 3년(36개월)을 채우면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지원금 360만 원 = 총 720만 원이 쌓이게 된다.

 

여기에 금융기관의 적금 이자도 추가로 더해진다. 반면,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라면 더 큰 혜택이 주어진다. 정부가 매달 30만 원까지 지원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본인이 매달 10만 원씩만 저축해도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지원금 1080만 원 = 총 144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이 역시 적금 이자가 추가된다.

 

결국, ‘꾸준히 일하며 매달 10만 원을 모으는 것’만으로 3년 뒤에 700만 원~1400만 원 이상을 손에 쥘 수 있는 제도인 셈이다.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한 소득 상한도 250만 원 이하(월급 기준)로, 올해 기준 완화됐다.

 

지난해 마포구 신청자는 1688명으로, 2023년(990명)보다 70% 이상 늘었다.

 

신청은 ‘복지로’ 누리집이나 동주민센터에서 가능하다.

 

문의는 마포구 실뿌리복지과, 자산형성지원 콜센터(1522-3690),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서 받는다.

 

마포구 관계자는 “청년들이 직접 돈을 모으는 의지만 있다면, 정부가 그 노력을 확실히 보상해주는 제도”라며 “요즘같이 적금 이자도 낮은 시대에 꽤 현실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