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 도움되면 가깝게 지내는 것
美도 중국과 협력할 것은 협력
자본주의체제 근간은 한·미 동맹”
“외교에 친중·혐중이 어디 있느냐.”
이재명 대통령이 보수 진영 일각에서 제기하는 ‘친중 성향’ 지적을 일축하며, 외교의 최우선 기준은 국익임을 분명히 했다. 국가 이익을 중심에 둔 실용외교 원칙을 다시금 천명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24일 일본 순방을 마치고 미국으로 향하는 기내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에서는 이 대통령의 친중 성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는 취지의 질문에 “내가 친중이라는 것은 주관적 평가에 불과하다. 외교에서 친중·혐중이 어디 있느냐”며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깝게 지내는 것이고 도움이 안 되면 멀리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외교정책에서 일관되게 강조해 온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를 확인하며 친중 논란에 선을 그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외교·안보관계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국익을 중심으로 실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어느 국가와 관계가 좋기 위해서, 어느 국가를 완전히 배제되거나 절연해서 적대적 관계로 전환할 필요는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외교의 근간은 한·미동맹”이라며 “자본주의 시장의 체제에 있기 때문에 이 가치와 질서, 시스템을 함께하는 쪽과의 연합 협력이 당연히 중요하다. 그래서 한·미·일 안보경제협력이 당연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다고 중국과 절연할 거냐, 절연하고 살 수 있느냐”면서 “중국과 절연하지 않아서 제가 친중이라고 한다면, 그런 의미에서의 친중은 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러다가 저에 대해 친북·친러, 어쩌면 친공(친공산주의)이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르겠다”면서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으려 한다. 대한민국은 특정 몇몇 국가와만 외교를 해서는 살 수 없는 나라”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한·일 정상회담과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관계도 그렇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고 양국이 서로 경쟁하거나 대결하지만 한편으론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순간에도 완전 적대화되지는 않는다”면서 “필요한 걸 얻기 위해서 서로 협력하지 않습니까. 국가 관계가 그런 것”이라고도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