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오르면서 금 관련 상품에도 투자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 골드바 판매액은 이미 작년 연간의 2배를 넘겼다. 금에 이어 은 투자도 인기를 끌면서 은 관련 상품 판매액도 급증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지난 11일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236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8월 말(1조1393억원)과 비교해 11일 만에 974억원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4545억원이나 불어났다.
골드뱅킹은 통장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다.
3개 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2023년부터 5000억∼6000억원 대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올해 3월에는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었다. 4월 말 1조1025억원까지 늘어난 뒤 주춤하다가 이달 들어 1조2000억원을 돌파했다.
골드뱅킹이 인기를 끈 것은 미국 관세 불확실성 등 여파로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국제 금 가격은 지난주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3600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넘었다.
국내 금 가격도 계속 상승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금시장에서 지난 12일 1㎏짜리 금 현물은 1g당 16만5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말보다 29.1% 뛴 수준이다. 지난 9일에는 16만7740원까지 오르면서 2월 고점(16만8500원)에 바짝 다가섰다.

골드바 판매액 증가세도 심상치 않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골드바 판매액은 이달 1∼11일 373억1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약 열흘 만에 지난 8월 전체 판매액(373억7500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골드바 품귀 현상에 판매 중단 사태까지 벌어졌던 지난 2월(882억9300만원) 기록을 넘어설 수도 있다.
올해 누적 골드바 판매액은 약 3628억원이다. 이미 작년 한 해(1654억원)의 2.2배 수준이다.
금 인기에 은도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NH농협)의 실버바 판매액은 지난 8월 10억5900만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 월 10억원을 돌파했다.
올해 누적 실버바 판매액은 49억8100만원으로, 지난해 전체(8000원)의 6.2배 수준이다.
한편 물가 변동을 반영한 금값이 45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값이 올 들어 40% 상승한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감세 정책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독립성 압박, 달러 약세, 미 국채 매도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글로벌 투자자들이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달러와 미 국채가 안전자산으로 남아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면서, 금으로 눈을 돌렸다.
투자운용사 마라톤 리소스 어드바이저스의 로버트 멀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금은 수백 년, 아니 수천 년 동안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에 맞서는 헤지 수단 역할을 해왔다”며 “투자자들은 정부의 재정 적자와 중앙은행의 물가안정 의지에 대한 우려 속에서 금을 다시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카르멘 라인하트는 “금 수요 확대는 인플레이션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한 결과”라며 “금은 불확실성이 클 때 항상 인기가 높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