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사 “美 비자제도 개선 필요”
경제개발청장도 “귀환 위해 논의”
정부, 美 비자문제 개선 TF 발족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명이 일시 구금됐다 한국으로 귀환한 사태를 두고 현지에서 한국인 노동자 복귀를 촉구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비자 제도에 대한 불만도 잇따르는 가운데, 미 연방의회 측은 이번 사건이 한·미 관계를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17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지 매체 서배너 모닝 뉴스에 “(한국인 노동자가) 돌아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대차 공장에서 일하던 한국인은 임직원들에게 배터리 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인력이라는 이유에서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민간 조직이지만, 조지아주 정부와 협력해 지역 경제 성장 촉진을 도모하는 기구다.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속내를 밝힌 톨리슨 청장은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지난주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현대차 경영진과 만나 “한국인 귀환을 위한 많은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현지에서는 비자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전날 조지아주 애틀랜타 리비안 전기자동차 공장 착공식에서 “이번 사건은 현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 전역의 상당수 기업이 똑같은 문제를 겪으며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며 “비자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크리스 클라크 조지아주 상공회의소장도 “공장을 지으러 온 한국, 일본, 독일 노동자들을 위해 비자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들과 국민이 받은 충격이 큰 상황에서 비자 문제를 포함한 재발 방지책이 마련되기 전에 근로자들이 복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연방의회 싱크탱크 의회조사국(CRS)은 지난 12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이번 사건으로 “양자 관계에 대한 한국의 우려가 제기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의회에 계류된 법안을 소개하며 “한국 국적자에 대한 고숙련 비자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해당 법안은 한국계인 영 김 하원의원(공화·캘리포니아)이 지난 7월 발의한 것으로,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E-4)를 발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미 비자 문제 개선을 위한 범정부 태스크포스(TF)’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TF를 공식 발족했다.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 부처와 한국경제인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가 참여한다.
이날 TF 회의에서는 비자 문제 관련 한·미 워킹그룹 회의에 앞서 우리 기업의 비자 발급 애로사항, 인력 파견 수요 및 계획 등을 점검했다. 우리 측이 미 측에 제기할 사항도 논의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 12일 국장급에서 수석대표를 맡는 비자 워킹그룹이 곧 출범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한·미 양국 실무급 대화 채널을 가동해 당장 빠른 적용이 가능한 조치를 협의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