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예상되는 쌀 초과 생산량 16만5000t(톤) 중 10만t을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했다. 쌀 수급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로 지난해 시장격리한 20만t의 절반 수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내놨다.

국가데이터처가 이달 2일 발표한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만1000t(0.3%) 감소한 357만4000t이다. 이중 예상되는 과잉 물량이 16만5000t에 이를 것으로 농식품부는 추산했다. 밥쌀 소비 감소와 가공용 쌀 소비 증가 등을 고려한 쌀 예상 수요량은 340만9000t이다.
위원회는 올해 민간 재고 부족으로 이월되는 구곡 물량이 평년보다 적은 데다, 최근 일조량 부족으로 깨씨무늬병 등의 병충해로 쌀 최종 생산량이 예상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초과량 중 10만t을 우선 격리한 뒤, 쌀 최종 생산량과 소비량을 봐가며 상황에 맞는 수급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해 시장 수요 대비 많은 양의 쌀을 시장격리 조치했다가 쌀값 폭등을 불러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해 쌀 초과 생산량은 5만6000t이었는데 시장격리 물량은 26만t에 달했다. 쌀 20㎏의 평균 소매가격은 이날 기준 6만6972원으로 전년 대비 25.8% 높다.
이날 정부가 시장격리 방침을 밝힌 10만t에는 올해 8월 말부터 정부가 산지 유통업체에 대여 방식으로 공급한 5만5000t의 반납 물량이 포함된다. 이 밖에 4만5000t의 용도를 가공용으로 제한해 밥쌀 시장에서 격리한다.
올해 쌀값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햅쌀이 본격적으로 수확되는 이달 중순 이후에는 안정화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농식품부는 소비자 부담을 덜기 위해 쌀 할인행사를 이달 말까지 연장하고 할인 폭도 20㎏당 5000원에서 7000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올해도 쌀 초과 생산이 전망되지만, 최종 생산량이 변동될 수 있다는 의견 등을 고려해 초과량 중 10만t을 우선 격리할 계획”이라며 “올해는 단경기(7∼9월) 산지 쌀값이 뒷받침돼 수확기 쌀 수급이 평년에 비해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확기 이후에도 쌀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시장 전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