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값이 2020~2021년 ‘집값 폭등기’ 수준을 넘어서는 상승세를 보이자 정부가 이번 주 추가 부동산 규제 대책을 내놓을 전망이다. 강남3구를 비롯해 서울 주요 지역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확대 지정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14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49% 상승했다. 전체 상승률은 폭등기였던 2020년(8.77%), 2021년(12.72%)에 비해 낮지만, 지역별로는 이미 그 수준을 넘어선 곳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는 집값 급등기 상승률을 훌쩍 웃돌았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14.59% 상승해 2020년(6.05%)과 2021년(8.55%)을 모두 넘어섰고, 서초구도 2020년 4.77%, 2021년 11.13%에서 올해 12.41%로 올랐다. 송파구 역시 올해 13.71% 상승하며 최근 5년 새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비규제지역인 광진·성동 등도 상승세가 가파르다. 광진구는 올해 9.70% 올라 2020년(9.58%)과 2021년(8.80%) 상승률을 모두 넘어섰고, 성동구 역시 11.98% 상승해 급등기 수준을 재현했다. 경기 과천 역시 13.89% 상승하며 2021년(12.28%)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는 서울 중심의 과열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지난 6월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했지만, 효과는 일시적이었다. 이후 강남과 한강변, 성남 분당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강동구 아파트값은 올해 9.24% 올라 2021년(11.46%)에 근접했고, 마포(8.71%)·동작(7.60%)·분당(8.50%) 등도 서울 평균 상승률(6.49%)을 웃돌았다.
이처럼 수도권 전반에 ‘집값 불안’ 조짐이 다시 나타나자 정부는 이번 주 안에 추가 안정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확대 ▲대출 한도 추가 축소 ▲보유세 강화 등 강도 높은 조치가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국회 국정감사에서 “규제지역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본다”며 “관계 부처와 세부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