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아들! 키 180㎝ 될 때까지 ‘이것’ 먹어야 해”… 딸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10-25 01:15:50 수정 : 2025-10-25 01:15:49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우리나라 부모 10명 중 3명이 자녀 성장을 위해 성장 보조제, 칼슘, 비타민D 등을 섭취하게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성장했을 때 부모들이 원하는 키는 남자 180㎝, 여자 167㎝였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는 창립 30주년을 맞아 한국갤럽과 함께 올해 6월 23일∼7월28일 만 5∼18세 자녀를 둔 부모 201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학부모들이 바라는 성인이 됐을 때 자녀의 키는 남성이 180.4㎝,여성이 166.7㎝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조사 결과, 자녀 성장을 위해 부모들이 시도한 행위로는 운동(58.7%), 특정 식품 섭취(37.0%), 칼슘 섭취(33.9%), 비타민D 섭취(32.4%), 키 성장 보조제 섭취(28.0%) 순으로 높았다. 성장 호르몬을 주사했다는 응답은 4.6%였다.

 

현재나 과거에 자녀의 성장 관련 문제를 겪었다는 학부모는 성장 보조제를 썼다는 응답률이 47.0%로 더 높았다.

 

키 성장 보조제를 썼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75.7%가 '보통' 혹은 '효과 없음'이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학부모들이 바라는 성인이 됐을 때 자녀의 키는 남성이 180.4㎝,여성이 166.7㎝였다.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에서 나온 20대 평균 신장(남성 174.4㎝·여성 161.3㎝)보다 5㎝가량 큰 수준이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키가 크기를 바랐지만, 성장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스마트폰등 전자기기 사용률은 높아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장에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의 경우 하루 8시간 미만 수면한다는 응답률은 2016년 35.2%에서 올해 36.3%로 올랐다.

 

대한수면학회에 따르면 연령별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미취학 아동(3∼5세) 10∼13시간, 학령기 아동(6∼13세) 9∼11시간, 청소년(14∼17세) 8∼10시간이다.

 

신체 활동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55.3%가 자녀들의 운동 횟수를 주 3회 미만 이라고 답했다.

 

신체 활동이 부족한 원인으로는 '아이가 너무 바빠서'(63.5%)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꼽혔다.

 

성장의 또 다른 중요 요소인 식습관 관련 설문에서는 하루 세 끼 식사를 하지 못한다는 응답률이 19.6%였다. 특히 여고생의 40.2%는 하루 두 끼 이하로 식사했고, 미취학 아동들도 7.3%가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해상 대한소아내분비학회 홍보이사는 "아이의 키가 작다고 하면 질환이 있는지 우선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며 "진단에 따라 크게 문제가 없다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게 중요하고, 다른 방식보다는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충분한 수면이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