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칩 분야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중국이 미국을 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황 CEO는 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파이낸셜타임스(FT) 주최로 열린 'AI의 미래 서밋'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FT가 보도했다.
이런 전망의 근거로는 기술에 대한 규제와 진흥 이슈를 거론했다.
그는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서방이 기술 발전에 대해 '냉소주의'에 빠져 있다면서 미국의 50개 주가 각자 규제를 채택하면 50개의 새로운 규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에겐 낙관론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에서는) 전기가 무료"라며 중국이 기술 기업들에 지급하는 에너지 보조금 때문에 현지 기술기업이 엔비디아 AI 칩의 대체품을 훨씬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엔비디아 고성능 칩이 연산 능력과 전력 효율성 면에서 화웨이 등 중국산 칩을 압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중국이 에너지 보조금을 지급한다면 기업들이 화웨이 칩을 쓰면서도 에너지 비용을 많이 부담하지 않게 되면서 엔비디아 칩의 장점이 일정 부분 상쇄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이 최근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기술기업에 에너지 보조금을 증액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황 CEO의 이와 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의 중국 수출금지를 계속 고수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나온 것이다.
황 CEO는 지난달 말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한 개발자행사(GTC)에서 "미국이(중국과의) AI 경쟁에서 승리하기를 바란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에 반도체를 판매해 중국이 미국의 기술에 의존하도록 하는 것이 미국에 AI 승리를 가져다준다는 논리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CBS 방송과 인터뷰에서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의 중국 판매를 허락하겠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최첨단 칩은 미국 외에는 누구도 갖지 못하게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달 30일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블랙웰의 중국시장용 버전의 수출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입장을 바꿨고 관련 논의도 이뤄지지 않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남북 조문외교](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64.jpg
)
![[세계포럼] 박정희, 정동영과 ‘투 코리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61.jpg
)
![[세계타워] 거대한 무기는 만능이 아니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25.jpg
)
![[열린마당] 비만치료제, 탈 날 수 있어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5/128/2025110551911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