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송 참사 국정조사 계획서 의결… 유가족∙생존자 “최소한의 정의 회복 출발점”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8-27 21:20:16 수정 : 2025-08-27 21:20:14
청주=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회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계획서가 최종 의결됐다.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친 참사 발생 2년 만이다.

 

국회는 27일 본회의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를 최종 의결했다. 본회의에서 재석 163인 중 찬성 161인, 기권 2인으로 통과됐다. 이는 지난해 8월28일 이연희 의원을 비롯한 당시 야 6당 의원 188명이 요구했다.

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협의회, 시민대책위, 국회의원 등이 27일 국회에서 오송 참사를 추모하는 초록 리본을 목에 걸고 국정조사 국회 의결에 환영의 뜻을 전하고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송재봉 더불어민주당의원실 제공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날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오송 참사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안전 대책 수립 및 집행 실태 등을 점검한다. 조사 범위는 △오송 참사의 직∙간접적 원인 및 책임 소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사전 안전 대책 수립 및 집행 실태 △참사 발생 전후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조치 전반 등이다.

 

조사 대상 기관은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충청북도, 청주시, 대검찰청, 경찰청, 소방청, 금호건설, 일진건설산업, ㈜이산 등이다. 정부 및 관련 기관·단체·법인·개인은 수사나 재판을 이유로 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자료 제출을 거부할 수 없다.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연 유가족·생존자협의회는 “이번 국정조사는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최소한의 정의를 회복하는 출발점”이라며 “우리 사회가 다시는 같은 비극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의 증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정조사가 정쟁의 수단이 아니라 여야, 정부, 지자체의 협력 아래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의 장이 되기를 강력히 바란다”며 “국회는 성실하고 책임 있는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에 한 걸음 더 다가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충북도는 이날 입장문에서 “국회의 국정조사 취지와 오송 참사 유가족의 뜻을 존중해 국정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국정조사 기간이 충북의 문화적 가치와 미래 산업을 세계에 알리는 국제행사인 영동세계국악엑스포와 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와 중복되는 만큼 국회의 적극적인 배려를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15일 오전 8시40분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인근 미호강 범람으로 침수되면서 발생했다.


청주=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