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지연이 꼭 실패 뜻하지 않아”
트럼프 “준비됐다” 발언과 대비
美 “對中 100% 관세 추가 안 해”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과 관세협상의 최대 쟁점인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 패키지의 주요 내용에 대한 한·미 간 논의가 아직 교착 상태라는 입장을 밝혔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나온 발언으로, 에이펙 기간 협상 타결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은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최근 고조된 무역 갈등 휴전에 나서면서 미·중 협상은 긍정적인 기류를 보이고 있다.
이 대통령은 27일 공개된 미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3500억달러 대미 투자와 관련해 “투자 방식, 투자 규모, 투자 시기, 손실 분담 및 이익 분배 방식 등 모든 것이 여전히 쟁점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지난 24일 이뤄졌다.
블룸버그는 이 대통령이 29일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무역 협상을 매듭짓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해석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언급과도 온도차가 감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기자들과의 약식회견에서 ‘이번 방문에서 한국과 관세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타결(being finalized)에 매우 가깝다”며 “그들이 (타결할) 준비가 된다면, 나는 준비됐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미국은 물론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할 것이나, 한국에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할 정도는 아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며 “지연된다고 해서 꼭 실패를 뜻하지는 않는다”고도 했다.
30일 한국에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드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미국 측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 집중하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도 나온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26일 방송 인터뷰에서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이틀간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만나 미·중 회담의 최종 의제를 조율했다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의) 중국에 대한 100% 관세 부과를 예상하지 않는다”며 “중국이 논의했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는 1년 유예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농부들을 위한 대규모 농산물 구매에 대해서도 합의했다”며 “중국이 미국을 황폐화하는 펜타닐 원료물질 문제 해결을 돕기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16년 만에 태풍 없는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507.jpg
)
![[특파원리포트] 트럼프가 결국 김정은을 만난다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99.jpg
)
![[구정우칼럼] ‘욕구 봉쇄’는 저항을 부른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77.jpg
)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무라야마 담화’의 가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8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