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해경 등 800여명 투입해 해안가 마약 수색
제주지검 “대검 디지털포렌식센터 활용 적극 협력”
제주도 해안에서 ‘차’(茶) 봉지로 위장한 마약이 또다시 발견돼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이날 하루에만 2차례, 지난 9월 말 이후 한 달여간 10차례다.
11일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0분쯤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삼양동 해녀탈의장 앞 갯바위에서 제주도 소속 바다지킴이에 의해 중국산 우롱차 포장 형태로 위장한 마약 의심 물체 1㎏ 상당이 발견됐다.
바다지킴이는 이날 제주도와 경찰, 해경, 해병대 제9여단 관계자 등 관계기관 800여명과 함께 제주 해안에서 대대적인 마약 수색 작업을 벌이던 중 해당 물체를 발견했다. 앞서 오전 9시쯤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안에서 주민이 마약 의심 물체를 발견해 해경에 신고했다.
이날 발견된 마약 의심 물체는 지난달 15일과 24일 경북 포항 임곡리 해변과 제주시 애월읍 해변에서 중국산 우롱차 포장 형태로 위장한 마약과 비슷한 모양으로, 각각 1㎏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간이시약 검사를 하지 않았으나 케타민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지난 9월 말부터 현재까지 제주시 제주항·애월읍·조천읍·구좌읍·용담포구·우도 해안가와 서귀포시 성산읍 광치기해변 등 총 10차례에 걸쳐 차(茶) 봉지로 위장한 마약이 발견됐다.
간이시약 검사 결과 모두 케타민으로 확인된다면 발견된 양은 총 29㎏에 달하며, 통상 1회 투여량 0.03g 기준 97만여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케타민은 마취제의 한 종류로 다량 흡입하면 환각, 기억손상 등 증세를 일으켜 신종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제주 해안에서 잇달아 마약이 발견되자 경찰과 해경, 자치경찰, 해병대 제9여단, 제주도청, 세관, 국정원 관계자와 바다지킴이 등 800여명은 이날 오후 1시부터 일몰까지 제주시 한경면∼귀덕리(1구역), 곽지리∼용두암(2구역), 제주항∼구좌읍(3구역) 3구역 등 제주 북부 해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마약류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경은 동절기 해양쓰레기 유입 지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색 구역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제주지검은 국정원, 제주경찰청, 제주해양경찰청, 세관 등 4개 유관기관과 마약수사 실무협의체를 열어 수사 상황을 공유하고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방산 특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48.jpg
)
![[채희창칼럼] 정년 연장 법제화 무리해선 안 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36.jpg
)
![[기자가만난세상] 청년기본소득 명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62.jpg
)
![[기고] 정비사업 신속 추진, 자치구 권한 이양이 답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25.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