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건설적 분위기에서 논의
조율 필요한 쟁점 한두가지 남아
에이펙 계기 타결 가능성 더 커져”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하고 19일 귀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협의 결과에 대해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취재진을 만나 “한·미 양국이 매우 진지하고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협상에 임했다”면서 “두 시간이 훨씬 넘는 공식 협의 외에 이어진 만찬 자리에서도 밀도 있는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다만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다”면서 “이번 협의의 성과를 토대로 협상이 원만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달 말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협상 타결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방미 전보다는 에이펙을 계기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면서도 “대부분의 쟁점은 상당히 의견 일치를 보았는데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남은 쟁점이 한두 가지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 쟁점을 우리 부처와 심도 있게 검토를 해서 우리 입장을 추가적으로 전달하고 추가 협상을 해야 한다”라고도 덧붙였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31일 한국의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에 합의했으나, 추가 협의 과정에서 대미 투자 패키지 집행 방식, 투자처 선정 권한, 투자금 회수 방안 등을 두고 이견을 나타냈다. 이번 방미 협의에서도 관련 쟁점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한국의 대미 투자금 3500억달러를 10년간 분할 투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개별적인 쟁점에 대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7월31일에 합의된 3500억달러라는 숫자에 대해서는 저희도 유념하고 있다”며 “(이 투자금이) 상호 호혜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운용돼야 한다는 점 등에 대해 양국이 상당히 의견 일치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대한민국 외환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없어야 한다. 한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협상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여기에 대해 이전보다는 한·미 양국의 의견이 상당히 접근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