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13∼19세 1인당 평균 독서권수 11.7권
20대 1인당 평균 독서권수 9.4권…한 자릿수 유지
올해 30∼39세 평균 8.1권 읽어…역대 최소 기록
10대부터 30대까지 청년층 독서량이 14년 새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독서량 감소는 스마트기기 이용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10대 청소년들은 하루 3시간 가까이 스마트폰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2025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13∼19세의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11.7권으로 집계됐다. 201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10대의 평균 독서권수는 2011년 22.2권에서 2015년 15.0권으로 뚝 떨어졌다가 2017년 15.7권으로 소폭 늘었으나, 이후 2019년과 2021년 각각 13.1권, 2023년 12.6권으로 줄었다.
지난 1년간 20∼29세의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9.4권이다. 2011년(18.8권)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2019년(9.8권)부터는 줄곧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30∼39세 역시 2011년 16.6권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올해 조사에서 8.1권으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전반적인 독서량은 적었다.
40∼49세의 평균 독서권수는 2011년 13.0권에서 2021년 9.0권까지 감소했다가 올해 조사에서 10.4권으로 소폭 증가했다.
50∼59세는 2011년 7.7권에서 2019년 5.2권으로 떨어진 뒤 올해 6.2권으로 다소 늘었다. 60∼69세는 2011년 이후 큰 변동 없이 4.0권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의미하는 ‘독서’는 종이책뿐 아니라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모두 포함한다. 소설과 시집 등이 포함되는 교양서적, 직업 관련 서적, 생활·취미·정보서적, 잡지, 만화 등이 해당된다. 다만, 문제집 등 학습서는 제외된다.
청년층 독서량 감소는 스마트기기 이용 증가와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데이터처의 '2024 생활시간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를 이용한 평균 여가시간은 2019년 2시간9분에서 2024년 2시간28분으로 늘었다.
이 중 실시간 방송 시청은 1시간34분에서 1시간30분으로 비슷했지만, 동영상 시청 시간은 13분에서 36분으로 세 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반면 책 읽기(7분)와 인터넷 정보 검색(9분)은 2019년과 2024년 사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10대 청소년들은 하루 3시간 가까이 스마트폰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아동·청소년의 미디어 이용행태와 미디어 이용 제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10세 미만 어린이들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1시간 15분으로 전년보다 11분(17.2%) 증가했다.
10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도 하루 2시간 41분으로 전년도 2시간 33분에서 8분(5.2%) 늘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